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장례식 부조금 액수 도대체 얼마나 해야할까?

반응형

학생 시절 장례식장에 가볼 일은 본인의 가족이나 친적 또는 친구 가족이 상을 당했을 때 뿐입니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게되면 결혼식, 돌잔치, 장례식 등 다양한 경조사에 참여하게 될 기회가 많아집니다. 장례식에 참석할 때 가장 고민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부조금을 얼마나 해야 하는지 입니다. 해본 적이 없으니 엄마, 아빠한테 물어보기도하고 친구에게도 물어보지만 딱히 명확한 답을 얻기는 쉽지 않습니다. 

 

 

장례식 부조금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로 홀수로 조의금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3만원, 5만원, 10만원 이런 식으로 내는데요. 10만원 이후 부터는 20, 30 이렇게 10만원 단위로 올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3만원을 많이 하는 편이고 친한 친구나 소중한 지인일 경우에는 조금 더 액수를 높이기도 합니다.

 

 

 

장례식 때 얼마를 내야하는지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장례식 부조금 액수 도대체 얼마나 해야할까?

3, 5, 10을 많이 하기는 하지만 액수가 따로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법적 강제사항도 아니요. 5천원만 달랑 냈다고 욕을 먹는 것도 아닙니다. 슬픔을 함께 나누는 마음 자체가 중요한 것이며 상을 당한 가족의 입장에서는 바쁜 와중에도 찾아와 준 조문객들이 마냥 감사할 따름입니다.

 

 

사회적 체면을 중시하는 사람이라면?

튀고 싶지 않다면 남들 내는 만큼 내는 것이 차라리 속이 편합니다. 언급한 대로 액수는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본인이 사회적 체면을 중시하고 관습이나 관례를 따르는 것에 익숙하다면 그냥 3, 5, 10만원에서 고르시는 것을 추천 합니다. 상주의 입장에서는 금액에 상관없이 찾아와 준것 만으로도 감사함을 느끼지만, 집단의 구성원들은 자신들과는 다른 튀는 행동을 보이는 사람을 불편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유교권 국가들이 유독 그런 부분에서 심합니다. 

상사의 모친상이나 지인의 가족상처럼 조직이나 사회생활의 일환으로 장례식에 참석하는 것이라면 그냥 관례대로 하시고, 지인, 친구와 연관된 행사라면 장례식 부조금 액수를 굳이 따를 필요는 없습니다. 대신 더 많이 위로해주고 슬픔에 공감해주세요.

 

 

     

결혼식, 돌잔치 축의금은 어떻게 내야할까?

장례식과 똑같습니다. 기혼자라면 보통 상대가 나의 결혼식이나 돌잔치때 냈었던 축의금을 기억해두었다가 같은 액수로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미혼이라면 3만원, 5만원, 10만원 중에서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소 친하게 지내던 지인의 결혼식에 17,800원을 낸 하객이 있었습니다. 그 하객은 제 친구였습니다. 결혼식 직후 지인이 축의금 봉투에 동전이 들어있는 것을 보고 기가 찼다고 하더군요. 몇 개월이 지나고 알게된 사실이지만 17,800원이 그 친구의 전 재산이었다고 합니다. 제 지인은 세상에서 제일 값진 축의금을 받았다며 결혼한지 10년이 넘었음에도 봉투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고 합니다. 

축의금이나 장례식 부조금 액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마음이 더 중요합니다.

반응형